오늘날 한글이라고 불리는 언문 즉, 훈민정음의 창제를 다룬 픽션 사극 '나랏말싸미'입니다.
이 영화는 픽션이라는 글을 꼭 써야 할 정도로 허구의 내용입니다.
애초에 '신미'라는 스님이 한글의 대부분을 만들었다시피 했다는 것이 영화의 주인데 이런 허구는 영화로 만들어지지 않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보는 사람에게 그릇된 생각을 심어줄까 염려됩니다.
영화를 보면 세종대왕은 뒤에서 지시만 하는 모양새이고 '신미'라는 스님이 한글의 거의 대부분이라 할 만큼의 일을 한 것으로 묘사됩니다.
영화라는 게 역사적 사실을 조금씩 양념을 치는 것은 그래도 허용해줄 만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 영화처럼 완전히 없는 사실의 전개를 만들어낸다면 모르는 사람들이 볼 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아직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거나 외국인이 본다면 한글이라는 것이 만들어진 것이 이 영화와 같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대표적인 역사적 사실이 왜곡된 인물이 바로 '명성황후' 즉 '민비'입니다.
민비는 드라마로 만들어져 각종 연극이나 뮤지컬 같은 것으로 조선의 국모인 것처럼 사람들이 기억하지만 실제 역사는 그 반대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잘 모르는 이들은 '민비' 즉 '명성황후'가 대단한 인물인 줄 착각합니다.
이런 영화로 인해 역사적 진실이 뒤바뀌어서 알려지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영화 '광해' 역시 역사적 사실 속에 창작이 들어갔지만 이 영화처럼 논란이 있지는 않았습니다.
아무리 배우들이 연기를 잘하고 했더라도 역사적 사실을 그린 영화라면 그 사실 속에 양념이 들어가야지 다른 역사를 만들면 안 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신미'는 한글 창제 이후 등장합니다.
이것이 역사적 사실이고 진실일 뿐입니다.
여기에 감독의 인터뷰도 논란이 되었습니다.
만약 감독의 인터뷰를 미리 접했다면 절대 영화를 보지 않았을 것입니다.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 감독은 '신미'의 한글 창제설이 진실이라고 믿고 영화를 만든 것 같습니다.
애초에 이런 감독이 만들었으니 이런 영화가 만들어졌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영화는 만들어지지 않았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부동의 1위가 세종대왕입니다.
그런 세종대왕의 가장 큰 업적인 한글을 창제하는 영화라서 그 어떤 리뷰도 보지 않고 영화를 본 것이 안타깝습니다.
역사적 사실 속에 조금씩의 양념만 쳐도 영화는 충분히 흥행했을 겁니다.
역사적으로 가장 위대한 인물과 역사적으로 가장 위대한 발명품과 명품 배우들을 모아 두고 이런 영화를 만들었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제 개인적인 평점은 3/10입니다.
'Story >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시트, 2019 (0) | 2019.08.25 |
---|---|
샤오미 미밴드 4 (Xiaomi Mi Band 4) (0) | 2019.08.23 |
라이온 킹(The Lion King), 2019 (0) | 2019.07.25 |
고독스(Godox) V1s 개봉기(Unboxing) (0) | 2019.07.20 |
'소니센터 남대문'과 함께하는 '수중 촬영 세미나' 후기 (0) | 2019.07.07 |